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샘씨엔에스 기업 분석

by 타올라이캅 2022. 7. 22.

기업이름 : 샘씨엔에스

코드번호 : 252990

시가총액 : 2500억원

주가 : 4985원

 

당사는 2007년 삼성전기㈜의 프로브카드용 세라믹기판 사업부에서 출발하여 삼성전자㈜의 프로브카드의 전략적인 세라믹STF 공급업체로 사업을 지속하였습니다. 세라믹STF는 웨이퍼의 전기적 성능평가를 위한 프로브카드의 핵심부품으로, MEMS Pin을 지지하고, 전기적 신호를 PCB를 통해 테스트 검사 장비로 전달하여 웨이퍼의 양품 및 불량품 판정을 담당하는 테스트 장비의 핵심 부품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6년 삼성전기㈜의 프로브카드용 세라믹기판 사업부문을 당사가 인수하면서 현재 ㈜샘씨엔에스로 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사업 초기 당시만 해도 일본 메이커 제품이 품질 우위와 선진 기술로 인하여 메모리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 뿐만 아니라 SoC용 세라믹STF의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있었습니다. 당사는 삼성전기㈜ 세라믹STF 사업부문을 인수하여 끊임없는 품질향상에 노력한 결과 현재는 12인치 NAND 메모리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 시장의 점유율을 높였으며, 이를 통해 반도체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반도체 소재 부품의 국산화 성공으로 가격 경쟁력 향상 및 수입 대체 효과에도 기여하게 되었습니다.
 당사가 인수한 이후로 국내 프로브카드社와의 NDA를 통해 전략적 기술제휴를 추진하여 개발 단계에서부터 End user(반도체업체 : S社, H社) 및 프로브카드社와 공동개발을 진행하였습니다. 과거 해외 프로브카드 제조업체들만이 DRAM TEST용 프로브카드를 제작하고 있었으며, 이 회사들은 외국 업체의 세라믹STF를 사용 중입니다. 하지만 S社의 DRAM용 프로브카드 국산화 개발 요구에 맞추어 당사 세라믹STF을 개발하여 성공적으로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규 거래선을 발굴하여 매출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술 및 제품의 확장으로 매출 확대 및 사업다각화에 성공하게 되면서 보다 더 경쟁력을 갖춘 회사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2022년 1분기 품목별 매출 현황

 

2022년 1분기 실적

  당사는 2022년 1분기 영업상황으로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55억원, 영업이익 56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전년동기실적 대비 매출액은 38.1%, 영업이익은 72.2% 증가하였습니다.

2022년 1분기 부채비율

 


설비의 신설, 매입 계획 
① 당사는 2021년 03월 31일 이사회에서 신공장 확정성을 위하여 기 매입한 토지 이외 부지를 한국산업단지공단 오송. 계양산업단 산업시설용지 입주계약 신청 공고 분양일정에 신청하여 2021년 04월 09일 분양주체로부터 최종 입주자선정 통보를 받아 취득하였습니다. 향후 건축 및 기계장치(라인투자)는 회사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 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2021년 05월 27일 이사회에서 중장기 사업 안정성 및 우수인력 확보 등을 위한 R&D센터 부지매입을 위하여 토지 및 건물을 취득하였습니다. 

 

판매전략

 현재는 메모리(NAND/DRAM) 시장 수요 증가에 부응하는 메모리(NAND/DRAM)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의 최적화 양산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중이며, 향후의 반도체 시장 동향, 반도체 제조업체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판매 전략수립에 반영할 수 있도록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반도체 산업 기술 흐름과 고객사인 반도체 제조업체로 부터 테스트 공정 장비의 컨셉에 맞는 정보를 제공받아 기술 트렌드에 부합되는 세라믹STF 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사의 성장동력을 확보하며, 영업은 물론 제조까지 국내에 직접 인프라 구축 갖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하여 경쟁사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납기대응력 향상, 품질 안정화 및 기술 향상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모리(NAND/DRAM)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 제품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아 장기적으로 비메모리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  매출 비중을 확대하고, 세라믹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사업 (5G/6G 통신 모듈, 전장, 정전척 등)으로 신규 거래선을 확보하여 더욱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현재의 국내외 거래선 이외의 신규고객사를 개척하기 위하여 해외의 다양한 잠재 고객들과 접촉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글로벌 반도체 대표 전시회인 SEMICON Korea, China, Taiwan 등 홍보 부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반도체 대표 테스트 워크샵인 SWTW(Semiconductor Wafer Test Workshop)을 통한 잠재 고객사와 네트워크 형성 및 지속적인 마케팅 전략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매출처
당사의 고객사는 국내외 프로브카드 제조사이며, 최종 사용자는 반도체 제조사입니다. 반도체 제조사 기준으로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국내 공급은 73%이며, 해외 공급은 27% 입니다. 

 

정부과제 수행 실적
정부의 주도하에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위한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당사도국책 과제와 자체 자금을 통하여 반도체 핵심 소재 부품 국산화를 진행 중입니다.

 

업계 현황
 
반도체 산업은 데이터 비즈니스 증가로 국내 반도체 제조사의 주력 제품인 메모리 칩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비메모리 시장도 5G, AI, 자동차의 전장화 등의 신규 응용처를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세화, 고속화 등에 따라 공정기술의 정밀도가 보다 높은 수준으로 요구되며, 고집적화 되고 있어 이를 만족하기 위해 반도체 장비도 고성능, 첨단화 추세에 있어 관련 시장에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도체 시장 현황  

 반도체 시장은 위드 COVID-19에 따른 수요 회복으로 메모리 분야는 클라우드, 데이터 비즈니스증가에 따라 시장 규모가 다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비메모리 시장도 5G, AI, Automotive등의 신규 응용처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도체 시장은 크게 메모리, System IC, OSD(Optoelectronics, Sensor, Discrete) 시장으로 구분되며,전체적인 반도체 시장은 지속적인 성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Data Center 기반의 Application이 증가하고, IoT, Automotive, A.I, Robot 등 수요 증가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반도체 프로브카드 시장  

프로브카드 시장 규모

 프로브카드는 반도체에 반드시 필요한 검사 공정의 핵심 부품이며, 당사 사업 영역인 세라믹STF는 프로브카드의 핵심 부품입니다. 프로브카드 시장은 최종 수요처인 반도체 산업의 경기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시장규모는 아래 그림과 같이 2021년 기준 약 2.6조원으로 추정됩니다. 향후 반도체의 최종수요처인 전자제품의 성능 및 기능의 다양화 및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신규 어플리케이션 시장 확대 등으로 지속 성장이 예상됩니다.

프로브카드는 크게 MEMS, Vertical, Epoxy/cantilever로 그 종류가 구분되며,  각 프로브카드의 type에따라 사용하는 기판의 종류가 달라지며, DRAM과 NAND 검사는 대면적 MEMS 프로브카드를 사용하여 반드시 세라믹STF를사용해야 합니다.

현재 프로브카드 시장의 가장 큰 M/S를 차지하고 있는 MEMS type의 경우 대적 기판이 필요하므로 타 기판 소재인 MLO(Multi Layered Organic)나 PCB를 사용할 수 없으며, 기판 사이즈가 작은 비메모리 분야도 검사 영역 확대로 인하여 대면적화됨에 따라서 점차 세라믹 STF로 전환되는 추세입니다.  

 

(2)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 시장 및 Supply Chain

 세라믹STF 시장은 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프로브카드 시장의 20%(프로브카드 제조업체 사업보고서 원재료 비중 기준)로 산정하며, 2021년 기준 약 5,167억으로 추정됩니다. 반도체의 미세화, 고집적화에 따라 프로브카드도 점차 고집적화 되어 세라믹 STF 시장의 비중은 25~3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프로브카드 시장의 확대에 따라 세라믹STF 시장도 동시에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전세계 세라믹STF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으며, 2019년 이후 국내 종합반도체 제조기업들이 반도체 부품 국산화 확대 정책으로 동사의 세라믹STF에 대한 수요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세라믹STF 산업은 기술 및 장치 집약적인 사업으로 신규 진입이 매우 어려우며, 고객사의 까다로운 기술 요구사양에 만족해야 합니다. 다층 세라믹 기판은 웨이퍼의 검사기능을 수행하는 프로브카드의 핵심 자재로 반도체 생산량과 반도체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라믹STF 제품은 부가가치가 높고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시장입니다. 현재 당사는 국내 프로브카드社를 통해 국내 반도체 제조회사에 공급을 확대하고자 하며, 특히, 전량 해외에서 공급받고 있는 국내 종합반도체 회사의 DRAM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의 국산화 공급을 개시하여 확대할 계획입니다. 세라믹STF는 프로브카드社를 통해 반도체 제조회사에 공급함에 따라 국내외 프로브카드社와의 협력관계가 중요하며, 국내 반도체 제조회사의 경우 NAND용 프로브카드는 대부분 국내 프로브카드社에서 공급받고 있으며 DRAM 및 CIS 등 비메모리용 프로브카드는 대부분 해외 프로브카드社에서 공급받고있습니다.
 반도체 핵심 재료인 웨이퍼의 검사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브카드는 반도체 생산에 꼭 필요한 장비로 전자기기 및 시스템 산업 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웨이퍼 생산에 소모품으로 적용되어 반도체의 생산량에 따라 시장규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반도체의 생산공정의 기술변화의 속도에 따라 수요가 더 증가하기도 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반도체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 시장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만들어지는 특성이 있으며, 사용자의 주문량에 의해 그 수요가 결정되므로 전방 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경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도체 소재 및 부품 산업의 경기는 반도체 산업의 경기와 유사한 사이클을 보입니다. 한편, 반도체 소재 및 부품 산업은  반도체 경기에 따라 반도체 장비 산업 대비 매출액 변동폭이 작은 특성을 보이며, 불경기시에도 그 타격이 더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불경기시 반도체 소재 및 부품기업은 제품 출하가격이 하락하고, 재고가 늘어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반도체 시장의 기술 개발 방향에 따라 반도체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 시장은 급속한 기술혁신이 요구되며, 직접화(System Intergration) 능력이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전문화된 구성품 생산업체와의 네트워크가 중요합니다. 또한 반도체 제조 기업의 요구사항에 따라 제품이 만들어지는 특성이 있으며, 제조 기업의 주문량에 따라서 그 수요가 결정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주요핵심 기술
(1) 대면적 세라믹 無수축 제어기술
당사의 세라믹 STF는 
LTCC(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기술을 적용한 대면적 기판에서의 수축률 제어 기술이며, 세라믹 조성 기술, 세라믹 소성 기술 그리고 Via 형성 기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축 소성을 구속층을 적용하여 Z 방향 대비 X, Y 방향의 수축량을 최소화하게 하였으며, 최적의 세라믹 조성을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X, Y 무수축으로 인한 Via void 발생으로 인한 불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Via 형성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개발한 세라믹 조성, Via 조성의 최적의 소성 결과를 얻기 위하여 자체의 소성 방식을 적용하여 12인치 대면적의 수축률을 설계 좌표 대비 최소 오차범위 이내로 구현하였습니다.

 

(2) 대면적 고집적 무결점 제조기술
당사의 세라믹STF는 LTCC 기술을 적용한 
대면적 세라믹 기판에서 30층 이상의 인쇄층과 50층 이상의 Via층을 동시에 양품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많은 제조공정들이 있습니다. 인쇄기술, 연결성 확보 기술 등을 통하여 세라믹STF의 연결 수율을 확보하고, 세라믹의 전기적 연결성 확보와 고객사의 중요 요구 사항인 박막의 정합성을 확보하였습니다.

 

경쟁상황   

 국내 반도체 제조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따라, 국내 업체의 메모리 반도체 시장 내 지배력 강세 지속및 비메모리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집적도 향상을 위한 3D NAND의 본격화, 신규 라인 건설로 DRAM 생산능력 증설, FinFET 공정을 통한 비메모리 고사양化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반도체 장비 업체 및 소자업체들은 지속적인 기술혁신이 요구됩니다.

현재 프로브카드社는 시장 내 다수가 경쟁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일본의 두 업체 를 필두로, 국내외 10여개 업체가 경쟁 중에 있습니다. NAND는 다수의 국내 업체가 분할하고 있으나. DRAM의 경우는 선두 2개 업체가 과점하고 있습니다. 비메모리는 선두 2개 업체를 필두로 다수의 해외 업체가 대응 중에 있습니다. 

당사가 제작하여 공급하는 세라믹STF 제품은 높은 기술 장벽으로 인해, 사실상 당사를 포함한 6개 업체가 경쟁 중에 있습니다. 이 중 1개사는 프로브카드를 제작하며 세라믹STF까지 자체 제작하는 업체이며, 나머지 5개 업체가 다수의 프로브카드社를 고객 대상으로 경쟁 중에 있습니다.
메모리 시장에서 NAND 프로브카드용 12인치 세라믹STF는 당사가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TCC) 기술을 적용하며, 주요 경쟁사는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HTCC)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 중입니다. DRAM 프로브카드용 12인치 세라믹STF는 경우는 생산하는 국내 프로브카드 제조업체에서 일부 공급하고 있으나, 일본 프로브카드 제조업체가 자체 세라믹STF에 고층 및 다층 박막 기술을 적용하여 대부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반도체 모델 변화에 따라 테스트용 프로브카드 모델이 변화하여 신규 반도체 모델 출시 라이프 사이클에 맞춰 세라믹STF 제품 라이프 사이클이 동행합니다. 반도체 모델은 수시로 변화가 이루어지며, 반도체업체의 모델 변화가 당사 매출의 주요 변수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당사는 제품 개발, 생산에 오랜 노하우를 통한 다양한 성능의 제품 제작방법과 납기 준수를 위한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반도체 모델 변화에 따른 신속한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DRAM 프로브카드용 세라믹STF

 DRAM 산업은 2021년 1분기에 공급 부족 싸이클로 진입하였으며, 2022년까지 2년간 장기 호황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개인용 컴퓨터의 DRAM 수요가 과거 비수기 대비 호조를 보이고 있고, 모바일용 DRAM 역시 구매 성수기가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최근 급등 중인 가상화폐, 고사양 게임 및 VR/AR 제품 및 메타버스 서비스 확대에 따라 서버용 DRAM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시황에 발맞추어 당사의 DRAM용 다층 세라믹 기판도 신제품 개발과 고객사 승인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 일본의 수출 규제의 영향으로 국내 반도체 제조사에서 소재/부품/장비에 대하여 국산화 추진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DRAM용 프로브카드도 그 영향을 받아 국산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0년 당사는 삼성전자에 공급되는 DRAM용에 승인을 획득하였으며 2021년 양산제품을 공급하였습니다. 향후DRAM 기판 공급규모는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 됩니다.

 

(2) CIS 사업부분 

 2020년 COVID-19로 인하여 비대면 시스템이 확대되고 자동차, 산업기계의 카메라 채용 증가로 CIS(CMOS Image Sensor) 시장 규모는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의 트리플 카메라 채용과 자율주행차 상화용가 진행 되면서 CIS 수요는 큰 폭의 증가세가 예상됩니다. 

글로벌 CIS 시장 규모는 2020년 470억 달러에서 2030년 1,430억 달러(약 158조)까지 늘어날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중 현재 큰 성장성이 보이는 이미지센서 시장에서 차량용 이미지센서의 점유율이 14%수준임을 감안하면 2030년까지 약 22조 이상의 차량용 이미지센서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이에 연동된 CIS 테스트용 프로브카드 수요 증가에 따라 세라믹STF 시장의 전망도 밝다고 하겠습니다. 

국내의 S社와 H社도 일부 DRAM 생산라인을 CIS 생산라인으로 전환하여 생산을 확대하는 등 CIS용 프로브카드의 수요가 강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CIS 프로브카드용 다층 세라믹STF을개발하여 글로벌 Top-tier IDM(H社)기업에 공급되는 CIS용 프로브카드에 세라믹STF 제품 사용승인을 획득하였습니다. 국내 또다른 글로벌 Top-tier IDM(S社)기에 공급되는 CIS용 프로브카드에 세라믹STF 제품은 2022년에 고객사 승인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씨에스 기업 분석  (0) 2022.07.25
풍강 기업 분석  (0) 2022.07.24
세중 기업 분석  (0) 2022.07.21
특수건설 기업 분석  (0) 2022.07.21
플랜티넷 기업 분석  (0) 2022.07.20

댓글